User Tools

Site Tools


isaac_project:ko:ko_ht_guide:1_ht

Differences

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.

Link to this comparison view

Next revision
Previous revision
isaac_project:ko:ko_ht_guide:1_ht [2023/12/04 11:05]
sergio created
isaac_project:ko:ko_ht_guide:1_ht [2023/12/04 11:44] (current)
sergio
Line 1: Line 1:
 ==== 번역 가이드라인 ​ ==== ==== 번역 가이드라인 ​ ====
 +
 +**번역 세트**: 프로젝트에 따라 고객은 동일한 소스 문자열에 대해 1개 또는 2개의 ​
 +번역문을 제공할 것을 요구합니다. 프로젝트 관리자는 각 핸드오프에 1개 또는 ​
 +2개의 번역문이 필요한지 여부를 번역 팀에 알립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2개의 번역문이 필요한 작업**: 2개의 번역문이 필요한 경우: ​
 +
 + 
 +
 +• 2개의 번역문은 개별적으로 지급됩니다(동일한 소스 문자열에 대해 번역1 ​
 +및 번역2를 모두 제공하는 경우, 두 번 지급됨). ​
 +• 번역1은 가장 일반적이어야 합니다. ​
 +• 동일한 소스 문자열에 대해 서로 다르게 표현된 올바른 번역문 2개를 ​
 +제공해야 합니다. 두 번역 모두 서로 다른 단어, 구조 및 표현을 사용하여 ​
 +원래 의도를 유지해야 합니다. 즉, 번역1은 번역2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할 ​
 +수 없습니다. 관사를 변경하거나 작은 차이를 주는 것 이상으로 의미상 ​
 +다양성을 높여 주는 번역2를 제공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여 주시기 ​
 +바랍니다. 예: \\
 +o 번역1: 전 Ralf입니다. \\
 +o 올바른 번역2: 제 이름은 Ralf입니다 \\
 +o 잘못된 번역2: 전 Ralf입니다 \\
 +
 + ​경어 구사 수준에 차이를 주거나, 서로 다른 의미를 지닌 두 가지 문장으로 ​
 +번역하거나(원문이 모호한 경우), 두 번째 번역에 동의어를 사용하거나, ​
 +구문론적인 차이를 두어 번역문을 다르게 작성하여 다양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 ​
 +모든 경우를 염두에 두고 이를 모두 조합해 충분히 다른 두 번째 번역을 제공해 ​
 +주시기 바랍니다. 항상 동일한 기준을 사용하지 않습니다. 이를테면,​ 매번 다른 ​
 +표현을 사용하지 않습니다. 독일어의 스위스 독일어와 같이 도착어의 다른 변형을 ​
 +새로운 번역문으로 제시해서는 안 됩니다. 이는 잘못된 도착어에 대한 부정행위일 ​
 +수 있습니다. 올바른 두 번째 번역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와 팁은 아래 섹션에 ​
 +게시되어 있습니다. \\
 +
 +• Pactera EDGE에서는 번역1과 번역2의 유사도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를 ​
 +수행합니다. 번역1과 번역2가 동일하거나 너무 유사하다는 점이 ​
 +확인되면(최소 변형만 적용됨), 이를 부정행위로 간주합니다. \\
 +• 올바른 번역2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도 있으며, 이러한 경우 번역2를 ​
 +생략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소스가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생략해야 합니다. \\
 +o 숫자 또는 가격 \\
 +o URL \\
 +o 이메일 주소 \\
 +o 고유 명사 \\
 +o 기타 \\
 +
 +• 사용자가 번역1만 제공한 경우, Pactera EDGE에서는 번역2 누락이 타당한지 ​
 +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를 수행합니다. 번역2 누락이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 ​
 +확인되면,​ 해당 번역을 제공하지 않은 사용자는 QA에서 벌점을 받게 됩니다. \\
 +
 +• 작업에 2개의 번역문이 필요하지만 올바른 번역2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, ​
 +SECOND TRANSLATION NOT POSSIBLE(두 번째 번역 불가) 버튼을 ​
 +클릭합니다. 이는 제공된 소스에 대해 가능한 번역이 1개뿐임을 검수자에게 ​
 +나타냅니다. \\
 +
 +**두 번째 번역에 대한 팁**: 두 번째 번역은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접근해야 합니다. 관사 ​
 +또는 문장 부호를 변경하는 것 이상으로 번역해야 합니다. 오역, 생략 등을 하지 ​
 +않고도 동일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. 두 번째 번역에서 ​
 +이러한 다양성을 높여주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팁을 아래에서 확인하십시오. ​
 +
 + 
 +• 다양한 수준의 경어 표현: 특성상 일부 문자열은 격식을 갖추지 않거나 갖춘 ​
 +문체를 구사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일반적으로 비즈니스 보고서에는 경어 ​
 +표현을 사용하고,​ 트윗에는 격식을 갖추지 않은 문체를 사용합니다. 저속하고 ​
 +불쾌감을 주는 콘텐츠에는 격식을 갖추지 않은 문체를 사용할 가능성이 ​
 +높습니다. 이러한 인식은 언어마다 다를 수 있으며, 해당 언어 문장의 맥락을 ​
 +고려하여 부자연스러운 경어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 ​
 +합니다. 단, 원문의 맥락이 모호하여 다른 수준의 경어 표현을 사용할 수 있는 ​
 +경우, 이를 사용하여 번역1과 번역2를 다르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예는 ​
 +다음과 같습니다. \\
 +o 번역1: 여러분의 자녀는 즐거운 마음으로 ​
 +웹사이트(www.loremipsum.com)에 접속할 것입니다. \\
 +o 번역2: 너의 아이는 www.loremipsum.com 페이지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낼 거야. \\
 +• 모호한 원문에 대한 다른 의미: 원문이 모호하여 서로 다른 의미로 해석되는 ​
 +경우가 있습니다. 번역1 및 번역2를 사용하여 모호한 동일 소스 문자열에 대해 ​
 +두 가지의 다른 의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.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. \\
 +o 원문: Fred previously checked on this with the gas desk because Aquila ​
 +indicated interest in buying out this contract. ​
 +여기에서 “Fred”와 “Aquila”가 사람을 지칭하는지,​ 회사를 지칭하는지 명확하지 ​
 +않으므로,​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. \\
 +o 번역1: 둘 다를 사람 이름인 것처럼 번역합니다. \\
 +o 번역2: 둘 다를 회사 이름인 것처럼 번역합니다. \\
 +• 구문론적인 차이: 번역1 및 번역2에 서로 다른 구문 구조를 사용합니다. ​
 +이는 어순을 변경하는 것뿐만 아니라, 다른 문법/​구문 구조를 사용하는 ​
 +것을 의미합니다.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. \\
 +o 번역1: 즐거운 생일 보내시길 바랍니다 \\
 +o 번역2: 생일 즐겁게 보내 \\
 +o 번역1: 언젠가 우리와 함께 “아메리칸 뷰티”를 보러 갈 수 있는지 ​
 +궁금해 \\
 +o 번역2: 언제 한번 우리와 “아메리칸 뷰티” 보러 갈래? \\
 +• 다른 용어: 번역1 및 번역2 간의 용어는 변경할 수 있지만 한 단어만 변경하지 ​
 +않도록 하십시오. 그렇지 않으면 너무 유사할 수 있습니다. 예는 다음과 ​
 +같습니다. \\
 +o 원문: Manual coffee crafting competition (Atlanta) \\
 +o 번역1: 핸드 드립 커피 만들기 대회(애틀랜타) \\
 +o 번역2: 애틀랜타에서 개최하는 수제 커피 만들기 대회 \\
 +• 다른 성별: 원문에 특정한 성별이 지정되지 않아 모호한 경우, 번역1과 ​
 +번역2에 다른 성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. \\
 +o 원문: You are really funny. \\
 +o 번역1: Sei molto simpatica. → 이는 여성을 나타냅니다. \\
 +o 번역2: Ti trovo davvero simpatico. → 이는 남성을 나타냅니다. \\
 +
 +**허용되지 않는 두 번째 번역**: 부정행위로 간주되는 허용 불가한 두 번째 번역의 예는 ​
 +다음과 같습니다(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음). \\
 +
 +{{ :​isaac_project:​ko:​ko_ht_guide:​ko_ht_img2.jpg |}}
 +
 +**모호하거나 명확하지 않은 원문**: 문맥이 명확한 경우에는 원문과 동일한 의미를 ​
 +유지합니다. 그러나 원문의 의미가 모호하고 문맥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웹에서 ​
 +여러 번 검색하여 가능한 문맥이나 의미를 찾습니다. 정확한 정보를 검색하면 기사 ​
 +또는 전체 대화문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 원문의 의미를 명확히 알 수 없는 경우에는 ​
 +최선의 판단을 하여 번역문을 작성합니다. 필요한 경우 단어의 뜻 그대로 번역합니다. ​
 +프로젝트에서 동일한 원문에 대해 2개의 번역문을 허용하는 경우, 이를 사용하여 ​
 +원문에 대한 두 가지의 다른 해석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“Rat”의 경우 ​
 +번역1에서는 동물을 언급하는 것으로 번역될 수 있고 번역2에서는 “반역자”의 의미로 ​
 +번역될 수 있습니다. ​
 +
 +**원문의 오류**: 원문에 문법 또는 철자 오류가 포함되어 있지만 의미가 명확한 경우 ​
 +의미상 자연스러운 번역을 제공합니다. 문법에 맞지 않는 구문이나 철자를 번역문에 ​
 +사용해서는 안 됩니다. 문법적으로 올바르고 철자가 정확한 번역을 제공해야 합니다. ​
 +또한 약어의 의미를 분명하게 표현해야 합니다(예:​ 'how r u -> cómo estás'​). ​
 +
 + 
 +
 +**의미가 통하지 않는 원문**: 원문의 의미가 완전히 통하지 않는 경우, Oneforma에서 ​
 +해당하는 “Bad source(잘못된 원문)” 확인란을 선택하고 문자 그대로의 단어별 번역을 ​
 +제공합니다. 원문의 일부만 의미가 통하지 않고 나머지에는 문제가 없는 경우, 의미가 ​
 +통하지 않는 부분은 문자 그대로 번역하고 나머지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번역합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왜곡된 원문**: 원문이 완전히 왜곡(“jknjknkjnknknn”과 같은 일련의 무작위 문자)된 ​
 +경우 Oneforma에서 해당하는 “Bad source(잘못된 원문)” 확인란을 선택하고 다음 ​
 +문자열로 이동합니다. 이렇게 표기된 문자열은 프로젝트 단어 수에서 제외됩니다. ​
 +원문의 일부만 왜곡된 경우, “Bad source(잘못된 원문)” 확인란을 클릭하지 않고 ​
 +왜곡된 부분을 그대로 둔 채로 나머지만 일반적인 방식으로 번역합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미완료/​불완전한 문자열**:​ 원문의 문자열이 불완전한 경우, 완전한 번역문을 ​
 +제시하려고 하지 마십시오. 원문의 해당 부분을 도착어의 의미상 동일한 번역으로 ​
 +제공합니다. 문자열의 나머지 부분의 의미를 추측하지 마십시오. ​
 +
 +**원문의 잘못된 언어**: ​
 +
 + 
 +
 +• 입력된 텍스트가 안내된 출발어가 아니라 완전히 다른 언어인 경우, ​
 +Oneforma에서 해당하는 “Source is not in the expected language(원문이 예상 ​
 +언어로 표시되지 않음)” 확인란을 선택한 후 해당 문장을 건너뜁니다. ​
 +이렇게 표기된 문자열은 프로젝트 단어 수에서 제외됩니다. EN-CN 작업을 ​
 +진행 중이지만 원문이 “Datos de mercado no son rastreados”인 경우를 예로 들 
 +수 있습니다. ​
 +• 원문의 일부만 다른 언어로 되어 있고 나머지는 예상 언어로 되어 있는 ​
 +경우, 잘못된 언어로 된 단어는 그대로 두고 나머지 문장만 일반적인 ​
 +방식으로 번역합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부수적인 단어**: 문화적/​언어적 행동 또는 습관을 나타내는 부수적인 단어가 ​
 +일반적으로 출발어로는 사용되지만 도착어로는 사용되지 않거나, 도착어로는 ​
 +사용되지만 출발어로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, 번역가는 동일한 의미와 어조를 가장 잘 
 +전달하기 위해 이러한 단어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아랍어에서 ​
 +영어로 미래의 사건을 논의하는 문자열을 번역할 때 의미와 어조를 가장 근접하게 ​
 +전달하기 위해 문자 그대로 번역하기보다는 “inshallah”라는 단어를 삭제해야 할 수도 ​
 +있습니다. ​
 +
 +
 +**관용구**:​ 관용구, 속담 및 표현의 경우 번역문에 소스 문자열의 의미를 항상 유지합니다. ​
 +단어의 뜻을 그대로 번역하여 소스 문자열의 의미가 소실되는 경우 이와 같은 번역은 ​
 +허용되지 않습니다. 예: “Break a leg” → “행운을 빌어”. ​
 +
 +**반복되는 단어**: 원문에 반복되는 단어가 등장하며 해당 단어가 의도한 의미에 기여하는 ​
 +바가 없는 경우, 번역문에는 한 번만 기재합니다. ​
 +예: “I went I went to the park” → “나는 공원에 갔다” ​
 +
 + 
 +
 +**추임새**:​ “uh”, “hmm”과 같은 추임새는 번역하지 않습니다. 예: “My weekend was um uh 
 +not too bad” → “나의 주말은 그렇게 나쁘지 않았어.” ​
 +
 + 
 +
 +**감탄사**:​ “oups”, “yikes”,​ “yay”, “gosh” 등의 단어는 텍스트의 일부로 간주되어야 하며, ​
 +이는 도착어로 번역되어야 합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문법 및 철자**: 철자 오류 없이 문법적으로 올바른 번역을 제공해야 합니다. 맞춤법 ​
 +검사기는 Oneforma에 통합되어 webapp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습니다. 검사를 ​
 +시작하려면 다음과 같이 검사하려는 각 문자열의 해당 버튼을 클릭합니다. ​
 +
 +{{ :​isaac_project:​ko:​ko_ht_guide:​ko_ht_img3.jpg?​400 |}}
 +
 +**성별**: 원문에 특정한 성별이 지정된 경우 번역문에도 같은 성별을 유지해야 합니다. ​
 +원문에 성별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번역문에서 성별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(예: ​
 +영어의 대명사를 독일어, 스페인어 등으로 번역하는 경우), 성별을 임의로 선택합니다. ​
 +남성과 여성 중 한쪽 성별에만 치중하지 마십시오. ​
 +
 + 
 +
 +**문체 및 경어 표현**: 원문에 경어 표현이 사용된 경우 청자가 부자연스러운 표현으로 ​
 +인식하지 않는 한, 번역문에도 동일한 수준의 격식을 갖춘 경어 표현을 사용하도록 ​
 +합니다. 영어와 같이 원문에 경어 표현이 없는 경우, 청자가 부자연스러운 표현으로 ​
 +인식하지 않는 한(일반적으로 일본어에서 발생함), 기본적으로 격식이 없는 문체로 ​
 +번역합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정중한 단어**: 도착어에서 '​please'​와 같은 ‘정중한’ 단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거나 ​
 +사용될 것이라고 예상하지 않는 경우, 해당 단어를 생략하시기 바랍니다. 이는 검수할 때 
 +누락 오류로 간주되지 않습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욕설/​저속한 콘텐츠**:​ 소스 콘텐츠의 어떠한 부분도 생략하지 않고 문장의 원래 ​
 +어조를 변경하지 않아야 합니다. 원문에 욕설, 정치적으로 잘못된 표현, 저속한 의견 ​
 +등이 포함된 경우, 동일한 의미와 어조를 전달하여 번역문에도 이를 유지하시기 ​
 +바랍니다. 문자열의 콘텐츠가 불편하고 번역하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문자열을 ​
 +건너뜁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숫자**: 숫자는 “동일한 형식”으로 유지합니다. 즉, 원문에서 숫자를 글로 표현한 경우 ​
 +번역문에서도 글로 표현해야 하고, 원문에 아라비아 숫자(123)가 사용된 경우 ​
 +번역문에도 아라비아 숫자(123)를 사용해야 합니다. 도착어에서 어색하거나 흔하지 ​
 +않더라도 이 규칙을 따라 주시기 바랍니다. 예: 123 → 123. two plus two equals four → 
 +이 더하기 이는 사 
 +
 +**천 단위 구분 기호/​소수점**:​ 천 단위 구분 기호 및 소수점과 같은 숫자 형식은 도착어에 ​
 +맞게 수정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영어에서 독일어로 번역 시 “123,​000”은 “123.000”으로 번역해야 합니다. ​
 +
 +**날짜**: 날짜는 도착어의 형식을 기본으로 하되 최대한 원문의 형식에 가깝게 유지해야 ​
 +합니다. 예를 들어, 영어에서 프랑스어로 번역 시 “02/​10/​2015”는 “10/​02/​2015”로 ​
 +번역해야 합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시간**: 시간 표시는 도착어의 형식을 기본으로 하되 최대한 원문의 형식에 가깝게 ​
 +유지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 영어에서 이탈리아어로 번역 시 “5:30 PM”은 “17:​30”으로 ​
 +번역해야 합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통화**: 통화 명칭은 번역되어야 합니다(변환되지 않음). 예를 들어, 영어에서 ​
 +스페인어로 번역 시 “8000 crowns”는 “8,​000코루나”가 됩니다. “18 dollars”는 ​
 +“18달러”가 됩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측정 단위**: 도착어가 다른 도량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단위를 변환해서는 안 됩니다. ​
 +단위를 변환한 번역은 허용되지 않습니다. 예: 화씨 75도는 섭씨 25도로 변환해서는 안 
 +되며, 75 F는 75 F로 번역합니다. 6인치를 15.24cm로 변경해서는 안 됩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기호**: 변환된 기호가 도착어에서 더 일반적인 경우에는 기호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. ​
 +예를 들어, 영어에서 독일어로 번역 시 “$125 dinner”는 “125 USD Abendessen”으로 ​
 +번역할 수 있습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형식**: 도착어에 미리 정의된 구문이 없는 경우 원문의 형식은 도착어로 유지되어야 ​
 +합니다. 예: “123”은 “백이십삼”이 아니라 “123”으로 번역해야 합니다. 예: “I am so 
 +happy!!!!!!!!!”는 번역문에서 “!”의 수를 동일하게 유지하여 번역해야 합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문장 부호 및 대문자 표기**: 문장 부호/​대문자 표기는 최대한 그대로 유지하고(특히 ​
 +채팅, 소셜 미디어 게시물 등과 같이 격식이 없는 콘텐츠인 경우) 도착어의 일반적인 ​
 +사용법과 일치하도록 합니다. 예를 들어, 원문에 여러 개의 물음표, 느낌표, 마침표가 ​
 +있는 경우 번역문에도 이 문장 부호를 그대로 복사하시기 바랍니다. 원문이 소문자로 ​
 +시작하는 경우 번역문을 대문자로 시작하지 않습니다. ​
 +
 +{{ :​isaac_project:​ko:​ko_ht_guide:​ko_ht_img4.jpg |}}
 +
 +그러나 번역문 또는 기타 문법 규제에 존재하지 않는 기호가 원문에 포함된 경우, ​
 +도착어에서 일부 문장 부호/​대문자 표기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 ​
 +
 +{{ :​isaac_project:​ko:​ko_ht_guide:​ko_ht_img5.jpg |}}
 +
 +{{ :​isaac_project:​ko:​ko_ht_guide:​ko_ht_img7.jpg |}}
 +
 +**예외**: 원문에 격식을 갖춘 표현이 명확하게 사용된 경우, 도착어에서 사용될 것이라고 ​
 +예상하는 문장 부호로 수정하고 조정해야 합니다. 문자열의 맥락이 없는 경우가 ​
 +대부분이지만,​ 때때로 사용된 콘텐츠, 문체 또는 언어로 원문의 특성을 짐작할 수 
 +있습니다. ​
 +
 +{{ :​isaac_project:​ko:​ko_ht_guide:​ko_ht_img8.jpg |}}
 +
 +원문이 모호하여 격식을 갖춘 표현인지 아닌지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는 경우, 이를 ​
 +격식을 갖추지 않은 표현으로 간주하고 원문의 문장 부호/​대문자 표기를 최대한 ​
 +그대로 유지하시기 바랍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멘션 및 해시태그**:​ @멘션 및 #​해시태그를 원문에 있는 그대로 유지합니다. 예: I don't like 
 +@PapaJohn pizza #cardboard #evil → no me gusta la pizza de @PapaJohn #cardboard #evil 
 +
 + 
 +
 +**코드 및 기술적인 텍스트**:​ <>, {}, [] 또는 다른 유형의 코딩 언어로 둘러싸여 일반적으로 ​
 +영어로 표기된 링크, html 태그, 개발 코드, 텍스트는 번역해서는 안 됩니다. 예: “<​head>​” ​
 +“{top:​-30px;​position:​absolute;​right }”, “xmlHttp.open("​GET",​ true)” 등이 있습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이모티콘**:​ 원문에서 이모티콘을 직접 복사하여 번역문에 붙여 넣습니다. 이모티콘이 ​
 +불완전한 경우(예: :​-‘)에도 변경하지 않습니다. 문장 의미에 필요한 단어를 대체하기 ​
 +위해 원문에 이모티콘이 사용되는 경우, 해당 이모티콘을 생략하지 않고 유추된 ​
 +단어로 번역합니다. 예: “The is red”는 “사과 는 빨갛습니다”와 같이 번역되어야 ​
 +합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기업 및 제품 이름**: 기업 이름과 제품 이름은 적절한 대문자를 사용하여 그대로 유지합니다. 예: Facebook → Facebook, ebay → eBay. 예외: 기업/​제품이 공식적으로 ​
 +다른 국가에서 다른 이름으로 광고된 경우에는 대상 국가에서의 공식 이름을 사용해야 ​
 +합니다. 예: “Diet Coke”는 이탈리아어로 “Coca- Cola Light”가 되며, “Algida”는 대상 ​
 +국가에 따라 “Frigo”,​ “Miko” 또는 “Eskimo”가 됩니다. ​
 +
 +
 +**고유 명사**: 고유 명사는 각 언어에서 널리 인식되는 역사적 명칭이 아닌 이상 ​
 +변경되어서는 안 됩니다. 예: Columbus > Colón. 이름이 소스와 동일하면 음역을 ​
 +사용할 수 있습니다. 세르비아어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. "​Shakespeare"​ > "​Šekspir"​. ​
 +다른 이름(예: 장소 및 언어 이름)의 경우 출발어와 도착어에서 이름이 다르게 번역될 ​
 +때 이를 번역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폴란드어로 Warsaw는 Warszawa, 독일어로 ​
 +Cologne은 Köln, 스페인어로 스페인은 España여야 합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앱 이름**: 공식 번역이 없는 경우 잘 알려진 앱 이름을 원문에 있는 그대로 유지합니다. 예: 
 +Skype → Skype 
 +
 + 
 +
 +**법, 법률, 단체의 이름**: 특정 국가에 속하는 법, 법률, 단체 등의 이름을 원문에 있는 ​
 +**그대로 유지합니다. 예**: '​Defense of Marriage Act'. 국제기구 또는 국제 문서(예: ​
 +'​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'​)의 경우 대상에 맞는 표준 및 승인된 번역을 ​
 +사용하시기 바랍니다. ​
 +
 + 
 +
 +**영화/​도서/​음악/​쇼 제목**: 제목에 대한 공식/​문화적으로 관련된 번역이 없는 경우, ​
 +제목을 원문에 있는 그대로 유지합니다. 대상 지역에 더 익숙한 공식 번역이나 ​
 +각색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번역해 주시기 바랍니다. 예: “Harry Potter and the 
 +Philosopher’s Stone”은 동일한 책의 프랑스어 버전으로 된 제목이므로 ​
 +프랑스어로 “Harry Potter à l'​école des sorciers”로 번역되어야 합니다. “Twinkle, ​
 +twinkle, little star”는 해당 한국어 노래 “반짝 반짝 작은 별”을 사용하여 한국어로 ​
 +번역될 수 있습니다. ​
 +
 +=> [[isaac_project:​ko:​ko_ht_guide:​2_ht|WEBAPP 가이드라인]]
 +
isaac_project/ko/ko_ht_guide/1_ht.1701687945.txt.gz · Last modified: 2023/12/04 11:05 by sergio